
CELEBRITY
전역 후 돌아온 서강준, 더 단단해진 마음가짐으로.
옷매무새를 다듬고 집 밖으로 나설 때. 서강준이 다시 써 내려가는 시나리오.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2월호 화보 촬영을 위한 자리지만, 2024년을 딱 하루 남긴 날 만났네요.
그러게요. 요즘은 일만 하고 있어서 그런가 연말이라는 게 실감이 잘 나지 않아요.
한 해의 끝에서 어떤 기분이 드는지 물어보면요?
나이 먹기 싫다?(웃음) 그래도 오랜만에 드라마를 촬영하고 있어 마음이 좀 놓여요. 군대도 다녀왔고, 거의 3년이라는 시간 동안 일을 쉬다 보니까 알게 모르게 조급함이 들었던 것 같아요. 그러다 7월에 드라마 촬영에 들어갔는데, 너무 행복한 거예요. 촬영 첫날 회사 대표님께 카톡도 보냈어요. 날이 더워서 죽을 것 같은데, 너무 행복하다고.
3년의 공백과 실감 나지 않는 연말을 지나면 2025년에 당도해요. 나이도, 연차도 나란히 적립하게 되는 이 시기는 어떻게 느껴져요?
현장에선 늘 제가 막내였거든요. 이제 저보다 어린 후배 배우들도 생기고, 스태프도 팀장님 밑으로는 저보다 어린 분들이 많더라고요. 그런 걸 보면 물론 지금도 젊지만, ‘내가 늙어가긴 하는구나’ 그런 생각이 들죠.
일로선요? 어느새 연기를 한 지 13년이 됐죠.
이제야 확신이 좀 생기는 것 같아요. 예전엔 제 생각을 정확하게 말하기가 좀 어려웠거든요. 아무리 연구하고 고민을 해도 ‘이게 아니지 않을까?’ 하는 의심과 스스로에 대한 불신이 있었고, 사람들은 제 의견을 인정해주지 않을 거라는 걱정도 있었는데, 지금은 제가 내리는 결정이 답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왜냐하면 여긴 정답이 없는 곳이거든요. 그게 되레 스스로에게 확신을 줄 수 있었던 계기가 된 게 아닐까 싶어요.

의심이 확신이 됐다는 행간에서 엄청난 변화가 느껴져요. 단순히 시간이 흐른다고 해서 바뀌는 건 아닐 텐데.
그쵸. 물론 그때도 지금도 열심히 하는 건 똑같지만, 예전의 제가 생각했던 게 지금보다는 정제돼 있지 않다고 해야 할까요? 그렇다 보니 사람들이 제시하는 의견에 대해 의연하지 못했던 모습이 있었죠. 적어도 지금은 제가 공부하고 연구한 것이 최선의 선택이자 정답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어요. 대신 스스로 확신을 갖고 연기하기 위해선 모두를 설득할 수 있을 만큼의 준비가 돼 있어야 하죠. 그래서 촬영장 나가기 전까지 치열하게 맡은 인물에 파고드는 시간을 가져요. 아무리 노력해도 완벽할 수는 없겠지만 20년, 30년이 되면 지금보다 좀 더 완성도는 갖출 수 있지 않을까요? 그걸 믿고 지금의 전 늘 최선의 답을 내리고 있다 생각하는 거죠.
연말연시는 지나온 날들을 되돌아보고 앞으로를 재정비하기 좋은 명분을 주잖아요. 그 명분을 빌려 지금의 서강준을 만든 결정적 장면은 무엇인지 물어보고 싶어요.
결과가 좋지 않았던 드라마?(웃음) <안투라지>라는 드라마 기억하세요? 그 작품이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를 냈는데, 그때 방황을 좀 했어요. 제 생각이 가장 많이 바뀐 시기기도 하고요. 혼자만의 시간을 엄청 많이 가졌는데, 그런 생각들을 하게 된 거예요. ‘내가 왜 연기를 하는 거지? 내가 연기하는 목적이 뭐지?’ 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이 제가 연기하는 이유를 완전히 바꿔줬어요. 물론 대중에게 사랑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오직 사랑받기 위해서만 연기하지 말자’ 그렇게 마음을 고쳐먹었죠.
그렇게 리셋하고 만난 작품이….
<제3의 매력> ‘온준영’이었어요. <날씨가 좋으면 찾아가겠어요> ‘임은섭’도 너무 좋았고요. 엄밀히 말해 이 작품도 많은 분들한테 폭발적인 사랑을 받을 수 있는 류는 아니었어요. 그보단 마니아층이 생기는 작품이었죠. 그럼에도 제 안의 방향성이 바뀌니 다르게 느껴질 수밖에요. 그 두 작품 모두 좋은 기억으로 남아 있어요.
코스모와 만났던 과거 강준 씨의 흔적도 찾아봤어요. 8년 전엔 “제 모습과 비슷한 캐릭터는 없었던 것 같아요. 전부 실제 저와는 좀 거리가 있는 인물들이었죠”라고 말했더라고요.
제가 연기한 인물과 저라는 사람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은 요즘 생각하고 있는 것이기도 한데요, 지금 촬영 중인<언더커버 하이스쿨>의 ‘해성’을 통해 저를 돌아보게 되더라고요. ‘해성’은 장난기도 많고 파이팅이 넘치는 친구인 데 반해 저는 조용하고 캄한 사람에 가까워 오히려 ‘온준영’이 저랑 가장 비슷한 인물이라고 생각했는데, 저를 스쳐간 모든 인물은 다 제 일부분이었다는 걸 부쩍 느껴요. 서강준의 수많은 조각 중 밝은 모습을 떼어다가 ‘해성’을 빚었다는 걸요. 그래서 요즘은 저를 돌아보는 시간을 보내고 있어요. ‘나는 어떤 사람이지? 어떤 성격이지?’ 물음을 던져보면서요.

그 물음의 답은요?
그저 조용하고 진중한 사람인 줄만 알았는데 그동안 연기한 모든 인물의 면면이 제 안에 있었더라고요. 그러고 나니 또 그런 생각이 드는 거예요. ‘이 모습들이 다 나에게 있는 거라면, 내 진짜 모습은 뭘까? 내 진짜 모습이라는 건 없는 걸까? 그저 나는 작은 조각들의 모음인 걸까?’
철학적인데요?
하하. 그래서 사실은 제가 어떤 사람인지 잘 모르겠어요. 물론 서강준의 베이스를 이루는 모습들은 있죠. 조용하고 캄한 모습. 하지만 그게 정확히 제 모습을 표현하는 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여전히 저를 찾는 중이에요.
그렇다면 요즘 서강준을 지배하는 키워드는 뭐라고 생각해요?
요즘은 ‘똘끼’예요.
‘해성’의 영향 때문일까요?
네. ‘해성’은 제게서 따온 파편 같다고 했잖아요. 아무리 연기에 몰입해도 저는 저고, 캐릭터는 캐릭터라는 사실은 변함없는데 이상하게 캐릭터의 성격으로 동화돼요. <날씨가 좋으면 찾아가겠어요> 때 음향 감독님을 이번 작품으로 또 만나게 됐는데, 감독님이 그러셨대요. 지금의 제가 <날씨가 좋으면 찾아가겠어요> 때랑 너무 다르다고. 그때는 현장에서 장난도 안 치고 조용했는데 이번 현장에선 정반대의 모습이라 제게 이런 모습이 있는 줄 몰랐다고요. 그만큼 제 성격이 캐릭터에 맞춰서 조금씩 변형되는 거겠죠.

‘해성’은 고등학교에 잠입한 국정원 요원이라고요. 서강준의 언어로 ‘해성’의 소개를 덧붙인다면요?
‘해성’이는요, 저랑 굉장히 비슷한 점이 하나 있어요.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 왜 그런 거 있잖아요. 우리가 세상을 아름답다고 바라보는 순간이 많은데, 사실 그 이면을 들여다보면 어둡고 더러운 면도 있게 마련인 거. 아름다워 보이지만, 그 반대편에 존재하는 민낯이 전 늘 궁금하고 그걸 보고 싶어요. ‘해성’도 비슷해요. 국정원 요원으로서 치열하게 악과 맞서 싸워도 세상엔 여전히 부조리한 현실이 있다는 걸 잘 알고 있는 친구죠. 어떠한 작전으로 학교에 잠입해 아이들과 지내게 되는데, 그 안에서 사회의 부조리를 똑같이 느껴요. 하지만 학교에서 만나는 친구들에게 마음이 동해 그들을 도와주게 되면서 깨닫게 되죠. 내 힘으로 세상을 완전히 바꿀 순 없어도 지금 내 앞에 보이는 작은 것들은 바꿀 수 있다는 걸요.
앞서 강준 씨가 말한 드라마 <제3의 매력> <날씨가 좋으면 찾아가겠어요>그리고 전작인 <그리드>와는 완전히 다른 결의 작품이에요. ‘코믹 활극’이라는 장르가 붙던데요.
맞아요. 그래서 너무 재미있죠. 또 다른 새로운 절 보게 되실 거예요.

서강준의 필모그래피는 긴 공백 없이 작품들이 촘촘하게 자리하고 있잖아요. 그래서 전역 소식이 들렸던 지난봄엔 머지않아 연기하는 모습도 볼 수 있겠다고 생각했는데, <언더커버 하이스쿨>을 만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렸네요.
원래는 전역하자마자 바로 작업하고 싶었어요. 사실 전역 전에 거의 할 뻔했던 작품이 여러 이유로 무산되기도 했고, 조심스러운 이야기지만 예전에 비해 제작되는 작품 수가 많이 줄었잖아요. 그만큼 제가 선택할 수 있는 폭이 줄었고, 폭이 줄어든 시장에서 확실한 승부를 보기 위해 소위 말하는 공식을 따르는 작품이 많이 생겨났죠. 거기서 오는 물음이 있었던 것 같아요. 왜냐하면 전 연기할 때 늘 ‘왜’를 생각하거든요. 특히 극 중 인물이 느끼는 감정의 개연성이 제겐 중요해요. ‘이 사람이 왜 여기서 이 말을 하는지’, ‘이 사람은 왜, 언제부터 저 사람을 사랑하게 된 건지’와 같은 것들이요. 개연성보다 설레고 재미있다는 이유만으로 연기를 하고 싶진 않아요. 물론 하라면 할 수는 있겠지만, 제게 연기란 일 이상의 의미를 지닌 일이에요. 어쩌면 제가 사는 이유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도 말할 수 있을 거예요. 그런 일을 이유 없이 한다는 건 목적도 없이 삶을 살아가는 것과 같아요.
좀 전에 강준 씨가 했던 오직 사랑받기 위해서만 연기하고 싶지 않다는 말과 이어지는 대목이네요.
맞아요. 제작 발표회에서 제게 “이 작품을 왜 선택하셨나요?”라고 물어보셨을 때 제가 이 인물과 작품을 통해 어떤 말을 하고 싶은지, 어떤 화두를 나누고 싶은지는 제 안에 분명하게 서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적어도 “많은 사랑을 받고 싶어서요”라고는 말하고 싶지 않거든요.
줄곧 연기의 동력은 열등감이라고 말해왔죠. 서강준을 배우로 살게 하는 힘은 어디서 기인하는 것 같나요?
연기가 재미있고 좋아서 아닐까요? 하지만 평생 연기만 하고 싶다는 생각은 하지 않아요. 정말 솔직하게요. 언제까지일지는 모르겠지만 그저 지금 내가 좋아하는 이 일을 할 수 있는 만큼, 다 쏟아낼 수 있을 때까지 최선을 다하고 싶어요.

운명론자다운 답이네요.(웃음) “모든 게 다 운명이라고 생각해요. 나에게 혹은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이 운명이죠.” 지난 코스모와의 인터뷰에서 강준 씨가 남긴 말이에요.
지금도 똑같아요. 제 삶에 일어나는 모든 일이 운명이라고 믿어요. ‘미래에 이럴 것 같아서 지금 무언가를 하겠다’가 아니라, 지금 눈앞에 놓인 것들을 조금이라도 더 즐겁고 행복하게, 집중해서 하자는 생각이에요. 지금 내가 하는 모든 일은 미래의 운명이 될 테니까요.
<언더커버 하이스쿨>을 목전에 두고 다시 집 밖으로 나서는 지금은 기분이 어때요?
설렘이라고 말하면 너무 진부한가요? 촬영 현장이 너무 그리웠거든요. 감독님과 토의하며 치열하게 신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느끼는 행복감이 정말 큰데, 그 일을 다시 하게 돼서 너무 행복했어요. 물론 매 신이 쉽지 않지만, 동시에 제 삶이 꽉 차 있는 느낌이 들어요. 이제 한 70% 정도 찍었는데, 제가 원래 있었던 원 안으로 조금씩 들어가고 있는 기분이에요. 이건 좀 괜찮았죠?(웃음)

Credit
- Editor 천일홍
- Photographer 신선혜
- Hair 엄정미
- Makeup 곽혜령
- Stylist 최진영
- Assistant 천주미
- Art Designer 장석영
- Digital Designer 김지수
스타들의 다이어트 비법 대공개
#다이어트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코스모폴리탄의 최신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