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ER
한 회사 3년이면 이직을 계획한다, 대이직 시대에 임하는 자세
회사 밖은 지옥이라 버티던 미생의 시절은 갔다?
전체 페이지를 읽으시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해주세요!

2024, 이직할 결심
10명 중 6명. 지난해 커리어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직장인 1471명을 대상으로 한 ‘이직현황’ 조사 결과 ‘당장 이직 계획이 없어도 이력서를 상시 오픈한다’ 답한 비율(62.1%)이다. 올해는 어떨까? 지난 1월 4일, 잡플래닛이 발표한 ‘2024년 채용 트렌드’ 설문 조사에서 “올해 이직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힌 비율은 64.1%다. 이직이나 퇴사 계획이 없다는 답변은 15.2%, 정년까지 다니겠다는 답변은 0.7%인데 반해 “이직 여부와 상관없이 무조건 퇴사하겠다” 답한 비율은 20%. 그야말로 대이직의 시대다. 이직하기 딱 좋은 3년
그렇다면 일한 지 어느 정도 지나면 직장을 옮기기 적당할까? 응답자의 절반(49.7%)은 ‘3년 이상 5년 미만’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 많은 답변은 ‘1년 이상 3년 미만’(37.9%). ‘5년 이상’이란 응답은 10%가 되지 않았다. 헤드헌터의 답변도 비슷했지만, 채용 담당자가 체감하는 근속 연수는 그보다 짧았다. 74.4%가 “3년 정도 일하면 이직한다” 답한 것이다. 대이직, 대퇴사, 대기업?
대이직과 대퇴사의 시대. 직장인들이 옮기고 싶은 회사는 어떤 곳일까? 헤드헌터의 89.6%는 대기업을 꼽았는데, 직장인들의 이직 목표는 더 다양했다. 대기업이 48.3%로 가장 많았지만, 외국계(20.7%), 스타트업(14.5%), 공기업(10.3%)이란 답변도 적지 않은 것. 이밖에 ‘구내식당 있는 곳’, ‘자유로운 분위기의 회사’, ‘워라밸이 지켜질 수 있는 곳’으로 이직하고 싶다는 답변도 나왔다. 이직과 리텐션, 그것이 문제
나답게 일하고 즐겁게 성장하기 위해 “버티겠습니다”가 아니라 “튀겠습니다” 계획한 직장인들에게는 슬픈 소식. HR 테크 기업 ‘인크루트’가 인사 담당자 786명을 대상으로 한 ‘2024년 주목할 HR이슈’에 따르면 올해 이직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경기 침체로 인해 신입 채용은 더욱 위축되고, 경력직 리텐션(Retention, 유지) 현상도 유지될 것이라고. Credit
- Freelance Editor 김가혜
- Photo Unsplash
코스모폴리탄 유튜브♥
@cosmokorea
이 기사도 흥미로우실 거예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코스모폴리탄의 최신소식